사업영역 전과정평가·검인증

사업영역

Our service

전과정평가·검인증

국내 최고 LCA 전문가들과 함께 제품 및 시스템의 전과정 환경성·경제성 평가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전과정 환경성 평가

제품 및 시스템의 전과정을 통해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합니다.

제품 환경성 평가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LCA(Life Cycle Assessment) 방법론을 이용한 신뢰도 높은 제품 환경성 평가 결과를 제공합니다.
(Attributional LCA, Prospective LCA 등)

  • 평균 데이터를 활용한 제품 시스템의 전과정평가 수행

  • 기술적 변동성을 고려한 시나리오 기반의 전과정평가 수행

  • 거시적 관점의 미래 시장 변동성을 고려한 모델링 기반의 전과정평가 수행

A-LCA

Attributional LCA

전통적인 LCA 기법으로 상용화된 기술의
현장데이터에 기반한 집계방식
ex. 환경성적표지 / 환경규제 등 현재의 상용기술 대상
  • 특정 시점에서의 전과정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평가기법

  • 주로 현재 상태(과거 데이터)를 반영

  • 환경영향은 투입산출물의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계산

  • 평균적인 환경영향 산출

대상 (상용)공정에 대한 연속적 데이터 기반 LCA 분석

출처 : Seol, Y., Lee, S., Lee, J.-Y., Han, J.-G., & Hong, G. (2021). Excavation Method Determination of Earth-Retaining Wall for Sustainable Environment and Economy: Life Cycle Assessment Based on Construction Cases in Korea. Sustainability.

P-LCA

Prospective LCA

신기술/개발단계에서의 불확실한 데이터를
객관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방식
ex. 기술개발 단계에서 환경영향을 분석/평가/관리하기 위한 방법
  • 미래 시나리오를 고려해 제품 혹은 기술의 환경영향을 산출하는 평가기법

  • 주로 미래변화(기술 발전 등) 반영

  • 환경영향은 투입산출물의 변화에 따라 비선형적일 수 있음을 가정

  • 미래의 잠재적 환경영향 산출

대상 (상용)공정에 대한 예측 데이터 기반 LCA 분석

출처 : Thonemann, Nils & Kerps, Anna & Maga, Daniel. (2020). How to Conduct Prospective Life Cycle Assessment for Emerging Technolog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hodological Guidance. Sustainability.

물질흐름분석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 전략을 수립을 위한 특정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흐름과 저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MFA(Material Flow Analysis) 결과를 제공합니다.

  • 자원 및 물질흐름분석 수행

  • 미래 요구량 및 발생량 예측을 위한 동적 물질흐름분석 수행

  • 자원효율성 및 순환성 평가

MFA

Material Flow Analysis

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흐름과 축적(Stock)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식
ex.국가, 지역, 산업, 제품 등의 물질 사용 및 폐기물 발생을 추적
  • 특정 시스템(예: 국가, 산업, 제품) 내에서 물질의 이동과 변환을 추적하는 분석기법

  • 주로 물질의 입력, 출력, 저장을 분석

  • 물질 흐름은 시스템의 변화(기술 발전, 정책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가정

  • 현재 및 미래의 물질 흐름과 환경영향을 평가

대상 시스템에 대한 물질 흐름 데이터 기반 분석

Erwan Mouazan, “A starter kit to design circular and regenerative cities”, Reflow, https://reflowproject.eu/blog/designing-circular-and-regenerative-cities-a-starter-kit/, 2025년 02월 13일 접속

전과정 경제성 평가

제품 및 시스템의 전과정을 통해 경제적 영향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합니다.

제품 경제성 평가

  • 전과정 비용 및 편익분석 수행

  • 개발기술의 기술경제성 평가

TEA

Techno Economic Analysis

기술/공정 도입단계에서 소요비용을
산정/분석하기 위한 직접비용 중심의 산정방식
ex. 화학 장비/시설 등 지출당사자가
투자비용 분석을 위한 기법
  • 특정 기술 또는 시스템의 미래 시점의 경제적 성과를 평가하는 기법

  • 기술 경제성 중심(시장동향 및 기술발전)

  • 기술의 경제적 타당성 검토(수익성, 투자대비 효과 등)

  • 시장 수요예측, 기술 성능, 수익 데이터 등 기술관련 데이터 반영

시설투자/운용에 대한
직접적인 비용 비교

LCC

Life Cycle Costing

제품과 제품시스템에 대해 소요비용을
산정/분석하기 위한 직/간접비용 중심의 산정방식
ex. 원료부터 폐기까지 제품시스템 전반에
소요되는 비용 추정을 위한 기법
  • 현재 또는 수명 주기의 전과정 동안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평가하는 기법

  • 비용 관점 중심(환경 요인보다 경제적 요인에 초첨)

  • 구매, 운영, 유지, 보수, 폐기 등 비용 데이터 반영

생산-사용-폐기의 전체 시스템에 대한
비용 최적화

Adrian Chong(2020), “Life cycle cost optimization”, Ideaslab, https://ideaslab.io/project/lcc/, 2025년 02월 13일 접속

CBA

Cost Benefit Analysis

프로젝트 또는 정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식
ex. 새로운 인프라 구축, 환경 정책 도입 등의
비용과 편익을 비교 분석
  • 특정 프로젝트나 정책의 비용과 편익을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분석기법

  • 주로 경제적 비용과 편익을 분석

  • 비용과 편익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가정

  • 현재 및 미래의 비용과 편익을 평가

대상 프로젝트나 정책에 대한
비용과 편익 데이터 기반분석

Norberto Pignatti(2016), “Introduction to cost-benefit analysis”, German Economic Team Belarus.

환경인증 검인증 컨설팅

환경인증 획득을 위한 검인증 절차 및 요건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01 환경성적표지 인증 컨설팅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운영하는 환경성적표지
인증 및 저탄소제품인증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공통∙개별)에 따른 환경성적 산정

  • 환경성적표지 인증 심사 대응 지원

  • 저탄소제품인증 컨설팅

02 해외 EPD 및 PCF 컨설팅

국제 표준에 따른 해외 EPD 인증과 PCF 보고서 검증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 ISO 14025 기반의 type III EPD 인증 지원

  • ISO 1404O/14044 에 따른 LCA 수행

  • 해외 EPD: International EPD, Norway EPD, UL EPD 등

  • 운영기관별 요구 규격(PAS 2050 등) 및 제품별 PCR(Product Category Rules) 반영 산정

  • ISO 14067 기반의 PCF 산정 보고서 검증 지원

03 국내외 재생원료 인증 컨설팅

재생원료 인증, UL ECVP, GRS/RCS, ISCC 등 국내외 재생완료 관련 인증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 산업부 재생원료 인증 컨설팅

  • UL ECVP 2809, RGS/RCS, ISCC 등 해외 인증 컨설팅

EU배터리 규제대응 컨설팅

연구 수행 실적

2023

LG 에너지솔루션 PCF 산정 방안 및 관리체계 구축 방안 마련

2023

글로벌 PCF 산정ㆍ관리 시스템 구축 및 시스템 인증 컨설팅

2023

배터리 Regulation 탄소배출량 신고 프로세스 구축

2024

PI첨단소재 제품 LCA 수행

2024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컨설팅

2024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컨설팅

2024

PI첨단소재 제품 LCA 수행

2024

전과정평가(LCA) 체계 구축 및 수행 용역

2024

전기차 배터리 사용단계 탄소발자국 산정 방법론 표준화 고도화

2025

제품 탄소발자국 및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2025

현대모비스 LCA 산정체계 고도화 및 협력사 탄소중립 대응 역량 강화

2025

ISO 14040 기반 LCA 컨설팅 및 CDP 대응 컨설팅

2025

엘앤에프 LCA 산정 및 프로세스 구축

2025

폐배터리 재활용 제품 LCA 수행 및 LCC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