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영역 통합환경 대응교육

사업영역

Our service

통합환경 대응교육 경영전략 및 규제대응 교육

지속가능성 관련 정책, 제도, 기법 부문의 전략수립과 실무적 대응을 위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교육분야 주제 강의시간 비고
정책 지속가능한 발전의 이해 30분 개념적 이해중심
저탄소경제 정책 30~60분 정책특성 및 핵심요소
순환경제 정책 30~60분
국제 제품환경규제 동향 30~60분 주요규제 특성 개괄
지속가능성 규제 동향 30분 ESG 전반 최신 규제 트렌드
산업(제조업) 디지털전환 및 DPP대응 전략 30~60분 디지털 전환 및 DPP
사업장
(탄소)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의 이해 (Scope 1, 2, 3) 30~60분 개념 및 산정방법 중심
공급망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전략 (Scope 1, 2, 3) 30~60분 감축목표 및 로드맵수립
제품
(탄소)
전과정평가 이론 30~60분 LCA 이론 교육
전과정평가 실무 120 ~ 480분 데이터 계산 및 S/W 실습
LCA S/W 교육 (SimaPro) 60~180분 SimaPro 소개 및 실습
LCA S/W 교육 (OpenLCA) 60~180분 OpenLCA 소개 및 실습
LCA S/W 교육 (LCA for Expert, 舊 GaBi) 60~180분 LCA FE 소개 및 실습
LCA S/W 교육 (XYCLE) 60~180분 XYCLE 소개 및 실습
환경성적표지 인증 실무 60~480분 환경성적표지 작성 실무
국내외 EPD 인증 현황 및 인증전략 30~60분 EPD 인증 소개
화학
물질
녹색화학 정책 60~120분 EU·미국 동향, 기업 대응
유해성 자료 확보 및 작성 방안 60~120분 유해성 자료 작성
글로벌 화학물질 정책 동향 30~60분 글로벌 화학물질 정책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전략 30~60분 제로오염목표
신규 화학물질 신고 및 등록 방안 60~120분 신규 화학물질 관리
기존 화학물질 등록 방안 60~480분 유·위해성 등록 자료 작성
DGA(data gap analysis) 교육 및 실습 60~120분 화학물질 DGA 실습
국내외
규제/제도
EU 배터리 규정 (탄소발자국 산정방법 중심) 60~120분 산정절차 및 세부내용
EU CBAM 규제 대응 및 내재배출량 산정(공급사) 60~180분 CBAM 수출자
EU CBAM 확정기 대응 전략(수입신고인) 60분 CBAM 수입자(신고인)
EU 에코디자인 30~60분 정책동향 및 세부 요건
화평법 이해 및 기업 대응방안 60~480분 규제 및 이행절차
산안법 이해 및 기업 대응방안 60~120분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방안
화학제품안전법 이해 및 기업 대응방안 60~380분 살생물제 승인 절차
중처법 안전보건관리체계 60~120분 안전보건관리체계
REACH 및 글로벌 화학물질 규제 60~380분 글로벌 화학 규제
기타
(기법)
화학물질 위해성 평가 60분 화학물질 유해성 중심
제품안전평가 30~60분 제품 물리적 안전성 중심
제품의 경제성 평가 방법 소개 30분 LCC 소개
제품의 사회성 평가 방법 소개 30분 SLCA 소개
Safety & Sustainable by desing 소개 30~60분 SSbD 방법론 소개

협력 교육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LCA 교육

  • 한국표준협회 LCA 교육

  • 한국표준협회 ESG 교육

  • 키엘연구원 LCA 교육

  • (사)디지털ESG얼라이언스의 디지털 LCA 전문가과정

  • (사)한국녹색산업진흥협회 온실가스감축사 자격 및 온실가스감축 심사원양성 과정 교육

  • 기타 세미나 및 포럼 발표 등

기업 교육

  • 현대모비스 및 공급망 대상 제품 탄소 관리 교육

    • 현대모비스 및 공급망 LCA 대응 교육

    • 현대모비스 공급망 CBAM 대상기업 배출량 산정 교육

  • 현대자동차 글로벌 공급망 CBAM 교육

  • 현대자동차 1차 협력사 부품LCA 교육

  • 현대글로비스 글로벌 공급망 CBAM 교육

  • 한국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공급망 교육

  • SK C&C 내부전문가 LCA 교육

  • SK LCA 기획전문가 과정 교육

  • 화평법 규제 이해 및 대응방안 교육

    • 장암칼스, 케이에스피, 두리코씨앤티 등 개별기업

  • 신규화학물질 신고 방안 교육

    • 더케머스, 이에스씨, 빅브라더 등 개별기업